1945년 이후, 언어마저도 분단의 상황에서 벗어나지 못했습니다. 남측의 《표준국어대사전》의 언어적 영토는 휴전선의 이남이었고, 북측의 《조선말대사전》의 언어적 영토는 휴전선의 이북이었습니다. 남북 양측의 대표적인 사전이 이럴진대 나머지 작은 사전들이야 어떠했겠습니까. 몇 해 전, 남북작가대회를 추진했던 젊은 작가들이 “작가의 조국은 모국어”라고 말했습니다. 우리 작가들은 모국어 분단 60년 만에 평양에서 만나 서로의 가슴을 열어 보이기도 했습니다. 그 때 모국어의 분단이 새삼스레 아팠습니다.
《겨레말큰사전》은 세종대왕의 한글 창제 이후 비로소 우리 민족 전체의 언어를 대상으로 삼은 첫 번째 사전이며, 휴전선 이남의 표준어와 이북의 문화어를 통합하고 극복하는 첫 번째 사전이며, 표준어와 문화어라는 규범을 넘어서서 ‘우리 겨레가 사용하는 보통의 말’ 즉, 겨레말을 대상으로 삼은 첫 번째 사전이며, 남과 북은 물론이고 함경도와 충청도, 전라도와 경상도의 어휘의 차이를 고스란히 담아내어 우리말과 글과 정신의 역사를 다양하게 수록하고 표현하는 첫 번째 사전이기도 합니다.
이제 두어 해만 지나면 모국어 분단 70년이 됩니다. 그 치욕의 세월이 이토록 길어지리라는 것을 누가 상상이나 했겠습니까. 하지만 비현실적이게도 그 세월은 현실이 되었습니다. 다행히 우리가 《겨레말큰사전》을 편찬하기 위해 각고의 노력을 하고 있다는 점은 모국어 분단의 역사에 큰 위로가 아닐 수 없습니다.
우리는 지난 칠 년 동안 겨레의 어휘창고를 샅샅이 뒤져가며 《겨레말큰사전》을 완성하기 위해 각고의 노력을 해왔습니다. 그동안에는 앞만 보고 달려온 셈입니다만 이즈음에서 한 번쯤 호흡을 가다듬고 혹시라도 소홀하게 지나온 부분이 없는가 살펴보기도 해야겠습니다. 그리하여 겨레 앞에 부끄러움이 없는 사전이 나올 수 있도록 더욱 매진하겠습니다. 남과 북 해외의 모든 동포 여러분들의 관심과 채찍이 있기를 소망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