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편찬요강]의 “사전의 올림말” 편 1 ~ 4 와 작업 요강 올림말 선정을 위한 작업 요강 전체
  • 20세기 초엽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우리 민족이 쓰고 있거나 썼던 말 중에서 올림말로 올릴 가치가 있는 어휘를 수록한다. (※약 30만)
올림말 선정을 위한 작업 요강 1
  • 기존 사전 《조선말대사전》과 《표준국어대사전》에 있는 올림말에서 《겨레말큰사전》에 올릴 어휘를 우선 합의·확정한다.
올림말 선정을 위한 작업 요강 2
  • 방언, 민속 어휘, 동식물 이명, 직업 어휘, 문학 작품에서 뽑은 말, 새말 등 광범한 분야의 문헌 자료와 생산 현장에서 어휘 조사 사업을 진행하여 민족 고유의 어휘 표현을 많이 올리도록 한다.
  • 현시대 과학 기술 발전의 요구에 맞게 전문 용어를 어느 정도 올리되 일상생활에서 널리 쓰이는 말을 영역별로 선별한다.
1. 두 사전에서의 올림말 선정을 위한 작업의 일반 사항
  • 두 사전에서 올림말을 선정하는 작업은 《겨레말큰사전》의 성격과 편찬 원칙에 따라 진행하는 일로서 겨레말 통일사전의 기본 내용과 틀을 짓는 기초 작업이다.
  • 두 사전에서 올림말을 선정하는 작업은 《겨레말큰사전》편찬의 선행 과정으로서 두사전의 맥을 이어 주고 남북 공동 편찬 사업의 성공을 보장하는 중요한 작업이다.
  • 작업의 진행은 남과 북이 각각 두 사전의 올림말의 공통점과 차이점 및 문제점을 찾아, 먼저 공통적인 올림말을 확정하고 《겨레말큰사전》에 올릴 수 있는 것과 올릴 수 없는 것, 토의하여 해결할 것들을 가려낸다. 다음으로 두 사전에서 차이가 나는 것들 중에서 쉽게 단일화할 수 있는 것과 토의를 더 해야 할 어휘를 갈라내며, 《겨레말큰사전》에 올리지 않을 어휘를 확정하는식으로 진행한다.
  • 철자법과 외래어 표기법의 차이로 생긴, 표기 형태가 다른 두 사전의 올림말들은 표기 통일을 전제로 하므로 이에 상관하지 않고 아직은 공통적인 것으로 인정한다.
2. 두 사전에서의 올림말 선정을 위한 작업 내용
  • 두 사전에 다 같이 올라 있는 어휘의 처리
    《조선말대사전》과 《표준국어대사전》에서 공통적으로 다루어 온 대부분의 올림말들은 두 가지 부류로 나누어 처리한다.

    첫째 부류 : 《겨레말큰사전》에 올릴 어휘 부류
    고유어 동사 가다, 오다, 뛰다, 기다, 꼬다
    형용사 높다, 낮다, 희다, 붉다, 달다
    부사 퍽, 잘, 꼭, 부르르, 기어이
    수사 하나, 둘, 셋
    대명사 나, 너, 우리
    관형사 온갖, 모든
    감탄사 아, 아뿔싸
    명사 집, 칼, 밥, 국, 고양이, 개, 돼지, 가람, 노고지리, 사래
    한자어 학교, 공업, 분과회, 갱도, 공장, 연구소, 분해, 조립, 구축함, 항공모함, 기병총, 화학, 수학, 력학, 생물학, 주체사상, 정치경제학, 사회과학, 독불장군, 사면초가, 오비리락, 관찰사, 감사, 리방, 아전, 과거시험
    외래어 펜, 콩크리트(콘크리트)*, 콤퓨터(컴퓨터), 쏘프라노(소프라노), 아르곤, 씨나리오(시나리오), 게놈.
    * 괄호 안 표기 형태는 남에서 쓰고 있는 형태이다.

    둘째 부류 : 《겨레말큰사전》에 올리지 않을 어휘 부류
    두 사전에 공통적으로 올라 있지만 옛 한문책이나 국한문혼용체에서나 쓰였을 정도로 어려운 한자어는 《겨레말큰사전》의 올림말 대상에서는 제외한다.
    - 실례 : 도두, 도진, 도치, 목석난부(木石難傅), 목석난득, 목석불부(木石不傅)
  • 어느 한쪽 사전에만 올라 있는 어휘의 처리
    - 한쪽 사전에만 올라 있는 어휘는 《겨레말큰사전》에 올릴 수 있는 것도 있고 없는 것도 있으므로 일률적으로 올리든가 빼든가 하지 않는다.
    - 다음과 같이 두 가지 어휘 부류로 나누어 처리한다.
    첫째 부류 : 《겨레말큰사전》에 올릴 어휘 부류
    과학 기술 발전과 관련한 어휘

    - 실례 : 하드웨어, 게놈분석, 게놈설, 다매체, 나노메터(나노미터), 인지심리학, 마우스(콤퓨터)

    역사제도어와 관련한 어휘

    - 실례 : 례부(禮部) (신라, 고려 때의 뜻은 있으나 발해 때의 뜻은 올라 있지 않음)
    예백(曳白) (과거볼 때 백지로 가지고 나오던 일)
    례빈시(禮賓寺) (이조 때의 뜻은 있으나 고려 때의 뜻은 없음)

    고유어 방언, 은어

    - 실례 : 구살머리쩍다, 집난이
    가사하다(함북 - 굼뜨다), 오레미,
    오슬기(삵), 오빠시(함남 - 올빼미)
    강아지(담배, 간수), 꾹돈

    둘째 부류 : 《겨레말큰사전》에 올리지 않을 어휘 부류
    좁은 범위에서만 쓰이는 전문 용어인 외래어

    - 실례 : 스피릿, 스피릿검, 스피어민트

    다듬은 말이 있거나 쉽게 다듬을 수 있는 외래어

    - 실례 : 싱커페이션

    각종 고유명사(인명, 지명, 사건명, 국명, 종족명, 기관명, 단체명 등)

    - 실례 : 스탕달, 박지원, 장개석, 베이징, 벽동군, 뉴욕, 노르망디상륙작전, 쓰딸린그라드전투, 노르웨이어, 노르망디공국, 영국, 발칸족, 켈트족, 만족,《비게덩어리》, 《죄와 벌》, 《최하층》, 《열정소나타》, 《월광곡》

    ※ 일부 우리나라 역사와 관련된 고유명사는 남북이 합의하여 올린다.

    - 실례 : 관동, 호남, 관북

    고어와 이두 어휘

    - 실례 : 주라, 바디집, 바라보다, 벽, 가렵다, 나루, 나루배, 남새, 낮추, 나직하다

  • 다듬은 말, 관련 어휘, 체계성을 띤 어휘의 처리
    다듬은 말을 사전에 올릴 때는 본래말과 함께 올리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 실례 : 노크 - 손기척, 좌석표 - 자리표(운수), 비유량 - 젖짜는량(축산),
    호습성 - 누기즐김성(생물), 노카우트 - 완전넘어지기(체육),
    뇨혈 - 피오줌(의학), 부정아 - 막난눈(생물)

    다듬은 말이 한때 쓰였으나 다른 말로 고쳐 다듬어졌으면 다시 고친 말을 올리도록 한다.

    - 실례 : 표피효과 - 겉면효과(×겉층효과) (체신),
    주유 - 기름주기(×기름치기) (기계),
    내륜 - 속바퀴(×바퀴속) (운수),
    과적재 - 초과싣기(×지내싣기) (철도운수),
    관모 - 우산털(×우산갓) (생물),
    괴철 - 덩이철(×덩이쇠) (금속)
    ※ 괄호안의 ×는 다듬은 말의 변화 상태를 보여 주는 것임.
    연락 관계로 맺어지는 관련어휘가 올림말로 오르지 않은 경우 그것을 올림말로 처리한다.

    《(다듬은 말로)》, 부호《=》로 보냈으나 사전에 없는 올림말의 처리

    모두 부호《=》로 보내고, 보낸 올림말을 기본 올림말로 처리한다.

    - 실례 : 파면 = 물결면, 식사안내표 = 차림표, 세차장 = 차세척장(×차씻는곳),
    동기유 = 겨울용기름(×겨울기름), 별실 = 딴방, 풍습 = 습비,
    이중타격 = 두번치기(×거듭치기), 풍가 = 중풍환자

    부호《⇒》로 보냈으나 사전에 없는 올림말의 처리

    갈피 ⇒ 칡껍질, 건치 ⇒ 말린꿩고기, 고화 ⇒ 옛그림, 공휴일 ⇒ 쉬는날,
    구지 ⇒ 옛땅, 광언 ⇒ 미친소리, 대아 ⇒ 큰어금이, 빙층 ⇒ 얼음층,
    종빈돈 ⇒ 종자암돼지, 연니 ⇒ 무른감탕
    ※ 사전에 없는 올림말은 따로 올려 처리한다.

    부호《→》로 보낸 올림말의 처리 : 올림말을 따져서 보내는 말이 방언이라면 없애고 기타의 것은 부호《→》로 보낸다.

    가리탕 → 갈비탕, 가불간 → 가부간, 간조르다 → 간종그리다,
    배지개 → 배지기, 발가집다 → 발그집다, 비끼다 → 비키다, 새다리 → 가위다리
    ※ 위와 같은 실례는 방언을 따로 올리기 때문에 없앤다.

    체계성을 띤 어휘들에서 일부 빠진 어휘는 거두어서 올림말로 삼는다.

    상행결장 (《하행결장, 횡행결장》은 올라 있음)
    외발서기, 뒤발서기, 비껴서기, 구부려준비서기, 모아준비서기
    (《나란히서기, 교차서기, 주춤서기》는 올라 있음)

  • 남과 북의 제도의 차이와 언어생활 습관으로 견해가 다른 일부 올림말 선정에 대하여는 거듭 협의와 토론을 거쳐 해결한다.
  • 단어 이외의 올림말의 종류
    단어가 아니더라도 올림말로 올릴 가치가 있는 것들은 수록한다.
    가) 접사, 어미를 수록한다.
    나) 단어보다 큰 단위(속담, 관용구)도 수록한다.
3. 두 사전에서의 올림말 선정 작업 방식과 계획
  • 작업 방식
    - 컴퓨터상에서 기계적으로 일치하는 어휘를 먼저 선정하고 그것을 분류.검토하며 일치하지 않는 어휘에 대한 분류·선정 작업은 따로 진행한다.
    - 올림말 선정 작업은 두 가지 어휘 부류로 나누어 진행하나 그 중간에 위치하는 어휘 부류는 각 조에서 협의를 통하여 해결한다. 협의에서 쉽게 해결되지
       않는 어휘는 별도로 협의·처리한다.
    - 두 사전에서 취한 올림말은 조사한 문헌 및 현장 어휘와 일원화하여 남과 북이 올림말 확정 작업에 들어간다.
  • 작업 계획
    - 작업 기간은 2006년 ~ 2008년까지로 한다.

2005년 11월 26일
《겨레말큰사전》 공동편찬위원회
개성

통일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국립국어원 문화체육관광부 국립한글박물관 통일교육원 통일부 남북통화문화센터 통일부 북한자료센터 통일맞이 한글학회